송상희

<머릿수건을 쓴 여인들>
2024, 2채널 비디오, 컬러, 사운드, 83분




송상희는 네덜란드계 일본군‘위안부’ 피해자인 얀 루프-오헤른과 일본 오키나와에 끌려간 일본군‘위안부’ 피해자 배봉기의 증언을 통해, 두 사람이 엽서로 주고받는 대화를 상상한다. 영상 속 장소는 일본군 위안소가 있었던 인도네시아의 섬들과 오키나와의 섬들이다. 인도네시아의 여러 섬은 19~20세기에 네덜란드의 식민지였으며 태평양 전쟁기에는 일본 제국에 점령되었다. 오키나와섬에서는 미일 간의 대규모 전투와 집단자결 등으로 수많은 희생자가 발생했다. 두 피해자가 주고 받는 상상의 대화는 부드러운 위로를 품고 있지만 거르지 않은 직설이며, 언어와 인종, 지역을 넘어 일본군‘위안부’ 문제가 왜 인류 전체가 책임져야 할 초국적 비극이었는지를 단호하게 보여준다.

Song Sanghee

<Ladies with Headscarves>
2024, 2channel video, color, sound, 83min

Through the testimonies of Jan Ruff-O’Herne, a Dutch-origine Japanese military 'comfort woman' victim, and Bae Bong-gi, another victim who was taken to Okinawa, Japan, Song imagines a postcard conversation between the two. The locations in the video are the islands of Indonesia and Okinawa where Japanese military comfort stations were located. Many islands in Indonesia were Dutch colonies in the 19th and 20th centuries and were occupied by the Japanese Empire during the Pacific War. In Okinawa, there were numerous victims due to large-scale battles between the US and Japan and mass suicides. The imagined conversation between the two victims is softly sympathetic but straightforward, and it resolutely shows why the issue of Japanese military 'comfort women' was a transnational tragedy that all of humanity must take responsibility for, transcending languages, races, and regions.